질병명 | 내용 |
---|---|
폐암 | 석면섬유가 폐에 들어가 폐장의 세포에 작용하여 세포가 이상 증식하는 악성 종양 |
악성중피종 | 흉막, 복막, 심막 등의 체강장막강을 덮고 있는 중피표면 조직에 발생하는 종양 |
석면폐 | 석면섬유가 폐에 들어가 폐장의 침착에 의한 섬유화이며, 흉막의 섬유화는 무관함 |
기타 부위의 암 - 식도, GI 등 |
명칭 | 최초보고 | 잠복기간 | 정의 | 특성 |
---|---|---|---|---|
석면폐 | 1907 | 10~20년 | 폐에 암세포의 발생으로 인한 조직의 이상 |
호흡곤란이 석면노출이 끝난 다음 여러 해 동안 서서히 진행 초기는 마른기침, 말기 화농성, 점액성 가래, 피로감, 체중감소 폐하엽이나 흉막인접 부위에서 진행 병이 진행되면 횡경막이 두꺼워 지고, 석면침착으로 폐 아래쪽에 진한 음영이 나타남 손가락 끝이 뭉툭해지는 지단거대증 발생(환자의 50% 이상) 누적노출량 25~100개/cc/year 석면노출량과 상관관계 5~45% 폐암으로 발전 |
폐암 | 1930 | 10~30년 | 폐에 암세포의 발생으로 인한 조직의 이상 |
호흡곤란, 피로감, 체중감소 누적노출량 25개/cc/year 석면노출량과 상관관계 1개/cc/10년 노출 폐암 발생 석면폐가 동반하면 석면에 의한 폐암 가능성 높음 폐암의 조직형태 : 편편상피암, 선암, 대세포암, 소세포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50배 이상 큼 |
악성 중피종 | 1960 | 20~40년 | 흉막 및 복막에 생기는 악성 종양 | 복부통증, 복부팽만, 가슴통증, 호흡곤란, 피로감, 식욕감퇴 급속진행 발병 후 1년 이내 사망 백석면 1개/cc/year에서 10만 명 노출군에서 5명 발생 석면노출의 지표 질환 석면 노출량과 관계가 희박하며 소량, 단기 노출에도 질병 을 일으킬 수 있음 |